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고사성어, 속담, 격언, 기타 한자어/영어 속담 및 격언(Quotes)

When you love someone, you love the person as they are, and not as you'd like them to be.

by 열공열공 2022. 3. 3.
728x90
반응형

When you love someone, you love the person as they are, and not as you'd like them to be.

- Leo Tolstoy -

 

당신이 누군가를 사랑할 때, 당신이 원하는데로 상대를 사랑하려 하지 말고, 사랑하는 그 사람을 있는 그대로 사랑하라.

 

조금 더 의역을 하자면, 누군가를 사랑한다면 그 사람을 나에게 맞추려 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를 사랑하라라는 뜻으로 볼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이 말을 잘 알고는 있는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는 경우가 참 많다.

 

그리고 벤저민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은 '사랑받고 싶다면 사랑하고, 사랑스럽게 행동하라'라고 했다. 현실적으로는 이 말이 조금더 와 닿는것 같다. 

 

누군가를 좋아하고 사랑할 때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외형적인 것, 내면적인 것. 모두 다 이유가 있기 때문에 원치 않는 모습을 보고도 있는 그대로 사랑하라라는 말은 쉽지 않은 얘기다. 요즘은 그런 모습이 보이면 그냥 관계를 끊는 것이 다반사라 현실성이 좀 떨어진다.

 

하지만, 누군가와 관계를 맺고, 정을 쌓고, 같이 살아간다면 항상 좋을 수만은 없다. 그럴 때 필요한 것은 이 사람이 나에게 어떤 사람인가, 이 사람이 나에게 얼마나 소중한 사람인가를 떠올리며, 그 사람 자체를 사랑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마도 톨스토이는 이 얘기를 하고 싶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사람이 오래 같이 지내면서 갈등은 피할 수 없기에 상대를 나에게 맞추려고 하지 말고, 그 사람이 곁에 있는 것이 얼마나 고맙고, 기쁜일인지를 생각하며, 그 사람을 있는 그대로 사랑하라라는 의미로 생각된다.

 

같이 지내면서 어떻게 항상 상대방에게 사랑스럽게 행동할 수 있겠나. 부모 자식간에도 안되는 그것이 연인이나 부부간에 어떻게 가능하겠나. 

 

사실 좋은 말들도 모든 경우에 적용하기엔 무리가 있고, 좋은 말을 한 사람도 어느 특정한 상황을 생각하며 얘기했을 것이라 생각 된다.

 

톨스토이는 앞서 얘기한데로 서로가 오래 같이 지내면서 갈등은 피할 수 없기에 그런 상황에 서로가 서로를 위해주고 사랑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을 얘기한 것이고, 벤저민 프랭클린은 사랑은 남이 해주기를 바라는데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필요한 부분을 얘기한 것으로 생각 된다.

 

지금 생각해보면, 사람과의 갈등 해결도 모두 경우에 따라 다른 것 같다. 그런데 종종 보편적인 상식, 의식을 앞세워 모든 경우를 적용시키다보니 '내가 맞다, 니가 틀렸다'가 나오는 것이 아닌가 싶다.

 

이도저도 아닌건 분명히 좋지 못하지만, 제일 중요한 것을 위해 가변적인 대응이 필요한 것도 분명한 사실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