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피곤한 직장인의 잡담821 삶에서 가장 힘든 것은 고통이다 삶을 끝으로 몰아가게 만드는 것은 극심한 고통이다. 고통이 심해지면 삶을 포기하게 만든다. 처음부터 삶의 포기를 선택하진 않는다. 회피, 전가, 멀어짐. 살아 있는 모든 생명은 기본적으로 삶을 갈구한다. 그래서 먼저 삶을 위하고자 한다. 삶을 위하기에 고통을 멀리하고자 한다. 고통을 회피하고자 한다. 고통을 전가하고자 한다. 고통은 여러 종류가 있다. 육체적 고통부터 마음의 고통까지 다양하다. 고통으로부터 멀어지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고통의 근원을 밝히고 그 근원으로부터 멀어지면 되는 것이다. 근원을 버리면 되는 것이다. 자신을 제대로 아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가 나를 고통스럽게 하는 것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문제점을 찾아서 문제점을 해결한다. 그런데 해결하지 못하는 .. 2025. 4. 20. 내버려두지 않는 불편함 약간의 기쁨도 허용하지 않는 불편함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 대단한 기쁨도 아닌데, 그리 길었던 즐거움도 아닌데, 그것이 못마땅해서 불편한 상황이 초래되는구나. 특별한 것도 아닌데, 특이하게 한 것도 아닌데, 불편함이 생기는구나. 불편함이 많아지면 불행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뭔가를 하려고 하면 생기는 불편함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 아주 작은 것도 더 크게 신경 써야 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평소에 괜찮았던 것이 왜 갑자기 문제가 되어야 하는가? 못마땅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잠시의 기쁨도, 잠시의 즐거움도 못마땅해서라고 생각된다. 나의 잘못이 그토록 크단 말인가? 나의 죄가 그토록 크단 말인가? 그것이 아니라면 나의 상황이 나와 맞지 않은 것인가? 2025. 4. 14. 내란수괴 윤석열 파면 결정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뿌리째 뒤흔든 내란 수괴 윤석열이 파면 되었다. 얼마나 힘든 하루하루였나... 정말로 괴롭고 괴로운 시간이었다. 저 결정이 나기까지 시사 프로 보기가 힘들었고, 뉴스 보기가 힘들었다. 무도한 작자들의 만행이 끝없이 이어지기에 사회정의가 얼마나 강해야 하는지 새삼스레 느끼게 되었다. 뻔뻔하고 더러운 인간들은 절대로 반성하지 않는다. 자기 잘못을 합리화하며 끝까지 변명만을 일삼는다. 정말로 상종조차 하기 싫은 인간 부류다. 이런 인간들은 절대로 권력을 쥐어서는 안 된다. 권력을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서 휘두르며, 준법정신은 찾아볼 수 없는 인간들이다. 사회가 안정되기 위해선 무엇보다 권력을 가진 사람들이 법과 원칙을 제대로 지켜야 한다. 권력을 남용하는 것이 아니라 권력의 무서움을 알고 .. 2025. 4. 7. 노년기의 4가지 고통 노년기의 4가지 고통과 관련된 메일을 받았다. 빈고(貧苦), 병고(病苦), 고독고(孤獨苦), 무위고(無爲苦) 가난하여 얻는 고통, 병들어 아픈 고통, 고독하여 외로운 고통, 할 일이 없어 무료한 고통. 위 고통의 시발점은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르겠지만, 나는 가난을 중심에 넣고 본다. 가난하면 병들어도 쉽게 치료받기 어렵다. 가난하면 주변 사람과 만나기도 어렵다. 가난하면 할 것이 별로 없다. 물질 만능주의 사회는 물질이라는 것이 삶의 전반을 다 휘젓는다. 정확히 말하자면 물질이 아니라 돈이다. 돈이 없어도 먹고 사는 데 지장이 없으면, 돈이 많진 않아도 적당히 있으면, 어느 정도의 삶은 영위할 수 있다. 가난의 기준은 상대적이다. 객관적인 가난보다 상대적인 가난이 더 괴롭게 느껴지곤 한다. 이러한 경향은.. 2025. 4. 3. 이전 1 2 3 4 ··· 206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