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경제, 주식, 부동산43

미국 인플레이션, 미국 금리 인상 전망, 대형 기술주 약세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심상치 않다고 한다. 돈이 엄청 풀렸으니 돈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는 오르고.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금리 인상이다. 금리가 인상되면 시중의 돈이 은행으로 모이고, 시중의 돈이 줄어드니 자연스레 돈의 가치가 올라간다. 그러면 물가는 떨어진다. 그리고 금리가 인상되면 돈이 은행으로 모이기 때문에 기술주 등은 주가가 떨어지고 은행 관련주들은 오른다. 코로나로 인해 어마어마한 돈이 세계적으로 풀렸다. 인플레이션은 비단 미국만의 일은 아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 다른 나라도 이자를 올릴 수 밖에 없다. 이자를 올리지 않으면 자국에서 달러가 유출되고 환율이 치솟을 수 있기 때문이다. 모든 경우가 경제 이론에 부합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경우 큰 틀은.. 2021. 12. 15.
미국 금리 인상과 충격 미국이 금리 인상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데, 아무래도 돈이 너무 많이 풀리고 부채가 너무 높다보니까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문제는 이 충격이 전 세계적으로 퍼진다는 것인데, 이미 남미쪽은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상하고 있고, 이러한 추세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금리가 인상되면, 우선 주식이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주식이 오르는 이유중에 하나가 저금리인데, 이 반대 현상이 나타나면 자연히 주식은 떨어진다. 특히, 기술주가 그러하다. 그리고 금리 인상으로 인해 타격받는 것이 부동산인데, 부동산 역시 이자가 오르면 타격을 받는다. 부동산 담보대출과 가계부채가 직격탄을 받을 것이고 이 충격은 대출 규모가 크면 클수록 거대할 것이다. 미국이 부채 한도를 늘린다 하더라도 금.. 2021. 10. 3.
미국 디폴트 시한, 2021년 10월 18일 미국 디폴트 위험으로 증시가 곤두박질 치고 있다. 문제는 디폴트 해결에 필요한 부채 한도 늘림을 공화당이 반대하고 있어서 난항이 예상된다. 하지만, 미국이 정말로 디폴트를 할 것이라는 생각은 좀처럼 들지 않는다. 아마도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공화당도 디폴트의 책임을 떠안고 싶진 않을 것이기에 부채 한도 늘림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부채 한도 늘림이 이루어지는 시기다. 공화당은 부채 한도 늘림을 이용해 민주당과 딜을 하려고 할 것인데...민주당과의 협상 시간이 길면 길어질수록 증시는 더욱 더 위기가 고조 될 것이다. 과거를 생각해 보면 위기가 기회일 수도 있다. IMF, 2009년 금융위기, 코로나 등 위기 때 증시는 곤두박질 쳤고, 그 시기에 적절히 주식을 사드린 사람은 많은 이익.. 2021. 10. 1.
미국 연방준비제도 테이퍼링 금년 내 시작 가능성 시사 테이퍼링, 즉, 양적완화를 축소하겠다는 얘기다. 코로나로 인해 돈을 겁나게 풀었지만, 그 결과, 인플레이션이 가속화 되고, 물가가 치솟으니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만약에 고용률까지 받쳐 준다면 여지 없이 테이퍼링을 할 것이다. 돈을 너무 풀어서 돈 가치는 떨어지고 물가는 오르고, 이런 인플레이션은 반드시 잡아야만 한다. 그런데 시장 경기가 현재 좋은건 아니지 않나? 어제만해도 반도체 과잉 생산 얘기가 나오는걸 보면 시장이 그렇게 좋은 것 같진 않은데. 결국, 현재 돈을 너무 많이 풀어서 불가피 하게 테이퍼링을 할 수 밖에 없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 같다. 이렇게 되면 주식도 영향을 받을 것이다. 그동안 주식과 부동산이 치솟은 이유중에 하나가 엄청난 돈이 풀렸는데, 그 돈이 마땅히.. 2021. 8.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