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심상치 않다고 한다. 돈이 엄청 풀렸으니 돈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는 오르고.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금리 인상이다.
금리가 인상되면 시중의 돈이 은행으로 모이고, 시중의 돈이 줄어드니 자연스레 돈의 가치가 올라간다. 그러면 물가는 떨어진다.
그리고 금리가 인상되면 돈이 은행으로 모이기 때문에 기술주 등은 주가가 떨어지고 은행 관련주들은 오른다.
코로나로 인해 어마어마한 돈이 세계적으로 풀렸다. 인플레이션은 비단 미국만의 일은 아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 다른 나라도 이자를 올릴 수 밖에 없다. 이자를 올리지 않으면 자국에서 달러가 유출되고 환율이 치솟을 수 있기 때문이다.
모든 경우가 경제 이론에 부합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경우 큰 틀은 어느 정도 맞아들어간다.
결론을 얘기하자면 미국의 금리 인상은 불가피 하다고 본다. 그리고 이로 인한 기술주의 약세는 이어질 것으로 본다. 오미크론이라는 변수, 코로나의 재확산 등이 있지만 이미 많은 돈이 풀린 상태이기 때문에 또 다시 돈 풀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 된다.
반응형
'경제, 주식,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 3% 중반...신용대출 평균 금리 5% 초과... (0) | 2021.12.30 |
---|---|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내년 금리 3차례 인상 예고 (0) | 2021.12.16 |
미국 금리 인상과 충격 (0) | 2021.10.03 |
미국 디폴트 시한, 2021년 10월 18일 (0) | 2021.10.01 |
미국 연방준비제도 테이퍼링 금년 내 시작 가능성 시사 (0) | 2021.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