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대출 억제를 위해 이자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문제는 신규대출자와 기존 변동금리 대출자들일 것이다.
3% 중반...우습게 볼 것 아니다...
단순 계산하면
1억의 3%, 3백만원...매달...25만원...
2억의 3%, 6백만원...매달...50만원...
원룸, 투룸 월세를 매달 은행에 갖다 바치는 것이다. 문제는 그렇게 갖다 바치는 건 이자기 때문에 원금은 그대로라는 것...
이자 갚기도 버거운데 언제 돈 모아서 원금 값나...
그런데도 주택담보대출에 열을 올리는 것은 부동산 가격이 폭등했기 때문이겠지...지금 빚내서 사면 나중에 팔 때 이자, 원금 다 털어도 남는다는 계산...
하지만...무엇이든 오르면 내려오게 된다...
부동산과 주식이 계속 올랐던 주요한 이유중에 하나는 코로나로 인한 돈풀기와 저금리다.
근데...미국이 양적완화를 축소하고 서서히 이자를 올리기 시작한 이상...우리나라도 이자는 계속해서 오를 수 밖에 없다.
그만큼 돈이 너무 많이 풀렸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언제부터 집이 투기 수단이 되었는지 참...갑갑하다...주택담보대출...주택을 담보로 해서 대출을 받는다...
개인적으론 대출 이름 그 자체로도 문제가 있어 보인다...
주택...집은 투기 수단이 아니라 보금자리이어야 한다.
반응형
'경제, 주식,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셀트리온 주가 폭락... (0) | 2022.01.17 |
---|---|
[사이트 링크][김종배의 시선집중]부동산 가격 하락 시작...거래 절벽 현실화... (0) | 2022.01.02 |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내년 금리 3차례 인상 예고 (0) | 2021.12.16 |
미국 인플레이션, 미국 금리 인상 전망, 대형 기술주 약세 (0) | 2021.12.15 |
미국 금리 인상과 충격 (0) | 2021.10.03 |